목차
2025년 2월 26일 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가 개봉하였습니다.
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는 혼자서는 서툴지만 함께라서 괜찮은 이들이 서로의 행복을 찾아가는 이야기로 '멜로가 체질', 쿠팡플레이 '유니콘'으로 매력적인 연출력을 선보인 김혜영 감독의 첫 데뷔작입니다.
많은 사람들이 현재를 살아가며 각박하고 차가운 현실에 힘들어 하는데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에서 주인공 인영(이레)은 무대 위에서 춤을 출 때가 가장 행복한 무한 긍정 소녀로 나옵니다.
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를 통해 무한 긍정 에너지를 받아 힘을 낼 수 있게 영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이레(인영 역)
자신이 뭐든 할 수 있다고 믿고 무대 위에 설 때가 가장 행복한 무한 긍정 소녀입니다.
진서연(설아 역)
실력이 부족하면 무조건 제외! 예술단의 마녀라 불리는 외로운 완벽주의자 감독입니다.
제자 인영과 자신의 집에서 함께 살게 됩니다.
정수빈(나리 역)
'잘하면 당연한 거고 못하면 안 되는게 나야'라고 생각하는 만년 1등의 무게를 견디는 예술단의 센터입니다.
이정하(도윤 역)
'네가 좋아'라며 1일 1고백을 하는 인영의 유일한 남사친입니다.
특별출연
손석구(동욱 역)
말 처방과 약처방을 동시에 해주는 인영의 동네 친구이자 괴짜약사입니다.
무대 위에서 가장 행복한 한국무용을 하는 무한 긍정소녀 인영(이레)는 엄마가 교통사고를 당하면서 하루아침에 혼자가 되는 비극적인 상황을 맞습니다.
그 뒤 밀린 집세 때문에 쫓겨나자 자신이 속해 있는 예술단에 몰래 숨어 살게 되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감독에게 들키고 맙니다.
깐깐한 예술단 감독 설아(진서연)는 어쩔 수 없이 오갈 데 없는 인영을 자신의 집으로 데리고 오게 됩니다.
설아의 집 지하 연습실에서 지내게 된 인영은 넓은 집에 한번 놀라고 온기라고는 없는 차가운 분위기에 두번 놀라면서 텅텅 빈 냉장고를 채워가듯 자신만의 방식으로 설아를 챙기게 됩니다.
설아는 그런 인영이 성가시지만 어느 순간 자신도 모르게 인영에게 스며들게 되고 맙니다.
예술단의 만년센터 나리(정수빈)는 인영에게 경쟁의식을 느끼다가 오디션에서 실수하게 된 뒤 인영과 대립하게 되고 묘한 기싸움을 이어가게 됩니다. 그렇게 두 사람의 대립과 감독 설아의 이야기를 이어갑니다.
캔디 캐릭터는 사실 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다뤄져 온 내용이지만 자칫하면 말도 안되는 무한긍정으로 공감대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
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에서는 그 또래 친구들이라면 느낄 법한 질투, 대립, 다툼, 화해, 이해, 포용, 우정의 모든 과정이 순차적으로 펼쳐지고 성숙하 인간으로 성장하는 흐름을 자연스럽게 보여주고 있습니다.
그 과정이 '우리는 경쟁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가는 것이다'라는 것을 보여주며 그저 밝기만 한 무한 긍정이 아니라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.
영화 후반부에서는 예술단 멤버들이 완성한 무대가 마치 실제 공연처럼 펼쳐집니다.
이 연기에 배우들은 직접 무용수업을 받으면서 두달동안 열심히 안무를 익혔다고 합니다.
그냥 연기를 하거나 흉내내는 정도가 아니라 표정연기부터 각 잡힌 군무까지 완성도 있게 펼쳐내면서 한 편의 뮤지컬을 본 느낌을 자아냈습니다.
특별출연한 손석구의 캐릭터 약사는 인영이 힘든 일이 있을 때마다 찾아가는 쉼터역할입니다.
힘들 때 필요한 약이 없냐는 질문에 주옥같은 명대사를 읊어주며 비타민이 특효약이 되어줄 것이라고 손에 쥐어줍니다.
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에서는 어려움과 고통은 생길 수 있지만 거울보고 혼자 역경을 이겨나가는 캔디가 아니라 서로를 의지하며 나아가는 게 큰 힘이 된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 같습니다.
영화는 절벽 끝 낭떨어지에 서 있는 것 같은 인영의 인생인데 힘들고 지치는 게 아니라 당차고 씩씩하게 일어서는 인영과 혼자가 된 인영 곁에서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주는 존재를 그리면서 나의 주변도 한번 더 돌아보게 하였습니다.
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는 첫 개봉일 누적관객수 1.7만명 실관람객평점 9.35 네티즌평점 9.29로 높은 평가를 받았습니다. 힘들고 지친 지금 영화 '괜찮아 괜찮아 괜찮아!'로 긍정에너지 많이 받고 힐링 받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.